뇌동맥류 | 뇌출혈의 원인이 되는 뇌혈관 질환
1. 뇌동맥류란 무엇인가요?
뇌동맥류는 뇌출혈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는 뇌혈관 질환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관벽에 지속적인 높은 압력이 가해져 혈관벽이 손상되고 탄력이 감소하면서 부풀어 오르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혈관 벽이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로, 뇌 속의 시한폭탄이라고 불립니다. 뇌 지주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뇌동맥류의 증상
1) 파열성 뇌동맥류 : 극심한 두통
뇌동맥류가 파열될 경우, 갑자기 평생 처음 겪어보는 극심한 두통이 발생합니다. 이때 오심, 구토, 뒷목이 뻣뻣해지는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두통이 발생한 순간을 명확하게 기억합니다.
예시: "세수하려고 욕실에 들어갔는데, 갑자기 누가 와서 쇠망치로 두드렸어요."
예시: "머리를 도끼로 맞은 것 같았고, 그다음부터는 기억이 안 나요."
예시: "술을 마시면 말을 더듬듯이, 갑자기 발음이 잘 안 되더니 그다음부터는 기억이 안 나요."
예시: "깨어보니 중환자실이었어요."
2) 비파열성 뇌동맥류 : 대부분 무증상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이나 다른 증상에 대한 검사 도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크기가 커지면 주변 뇌조직이나 뇌신경을 압박해 복시, 안검하수, 시야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뇌동맥류의 진단
뇌동맥류를 진단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뇌혈관을 볼 수 있는 CT 혈관조영술(CTA)이나 MR 혈관조영술(MRA)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법은 카테터 뇌혈관조영술이지만, 침습적인 방법이므로 보통은 비침습적 방법인 CTA나 MRA를 먼저 시행합니다.
뇌동맥류가 진단되면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해 카테터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치료 계획을 결정합니다.
4. 뇌동맥류의 치료
뇌동맥류 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뇌동맥류 파열을 방지해 뇌출혈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뇌동맥류 파열 시 약 30%의 환자가 출혈과 동시에 사망하며,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약 50%는 심각한 장애를 겪게 됩니다.
뇌동맥류 파열은 주로 40-60대에서 발생하며, 자발성 뇌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1) 클립결찰술
전통적인 치료 방법으로, 머리를 열고 부풀어 오른 혈관을 금속 집게로 물어놓는 수술법입니다.
2) 코일색전술
전신마취 상태에서 대퇴동맥을 통해 얇은 관(카테터)을 뇌혈관까지 밀어 넣어 뇌동맥류 안에 금속 코일을 채워 파열을 막는 수술 방법입니다.
5. 치료 후 주의점
비파열성 뇌동맥류를 치료하는 경우, 수술 직후 대부분 정상적으로 깨어나며 일주일 안에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파열성 뇌동맥류는 뇌부종, 뇌혈관연축, 뇌허혈, 뇌경색 등 많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면역력과 저항력이 감소해 다른 장기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내과적인 합병증도 주의해야 합니다.
6. 예방
뇌동맥류는 병원에 오기 전에 환자의 약 30%가 사망하는 무서운 병이지만, 치료와 예방이 가능합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 조절과 금연이 뇌동맥류 발생 및 파열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강, 운동, 멘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지밀A와 베지밀B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 (0) | 2024.12.13 |
---|---|
찾았다! 인생 씨리얼! 당류 걱정없는 미주라 미주라 돌체센자 콘플레이크 (0) | 2024.08.22 |
뇌과학이 말하는 근력운동의 중요성 (0) | 2024.08.22 |
호모 사피엔스가 달리기를 해야 하는 이유 (0) | 2024.08.22 |
강해지는 법, 당신의 뇌는 알고 있다. (2) | 2024.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