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장 예절
조문은 결혼식과 달리 초대장이 없어도 참석할 수 있습니다.
결혼식에는 참석하지 않아도 되는 반면 장례식에는 꼭 참석해야 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장례식은 고인을 떠나보내는 슬픈 자리이기 때문에 조문객은 문상 예절과 상가 예절을 잘 준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사람들은 상가집에 가는 것이 낯설어서 어떻게 절차와 예절을 따라야 할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조문시 알아두면 좋을 기본적인 에티켓과 상가집 및 장례식장 절하는 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 조문(弔問)이라는 말은 조상(弔喪)과 문상(問喪)을 합친 말입니다.
'조상’은 영정 앞에서 절하는 것을 뜻하고, '문상’은 상주에게 인사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상가집에 갈 때는 '문상 간다’라고 하기보다는 '조문 간다’라고 하는 것이 옳습니다.
조문 예절 기본 순서
장례식장 입장
① 장례식장에 들어가기 전에 외투·모자는 벗고, 복장이 너무 튀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② 장례식장에 들어오면 조문객 방명록인 조객록을 씁니다. (부의금은 나갈 때 내도록 합니다.)
빈소에 들어설 때
전통 예법
① 빈소에 들어서면 상주와 목례를 나눕니다.
② 준비된 향을 들고 불을 붙인 후 향을 흔들거나 왼손으로 부채질을 하여 불을 끕니다. 이 때 입으로 바람을 불어 끄는 것은 예의가 아니니 주의합니다.
③ 향로에 향을 꼽고(향은 오른손으로 들고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칩니다.) 영정을 향해 묵념한 후, 절을 두 번 합니다.
④ 절을 한 후 영정 앞에서 물러나서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 절을 하는 횟수는 한 번입니다.
⑤ 간단한 인삿말을 나눌 수 있지만, 빈소에서는 상주에게 말을 거는 것이 기본 예의가 아니므로 되도록 삼가야 합니다.
⑥ 빈소를 나올 때는 몸을 휙 돌려 나오지 않고, 두세 걸음 정도 뒷걸음으로 나온 후 몸을 돌려 나옵니다.
기독교 조문예절
① 빈소에 들어서면 상주와 목례를 나눈 후, 준비한 국화꽃을 영정 앞에헌화합니다. (헌화 역시 꽃은 오른손으로 들고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칩니다.)
②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고개를 숙이고 잠시 묵념합니다.
③ 묵념을 한 후 영정 앞에서 물러나서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 절을 하는 횟수는 한 번입니다. (상주와 맞절을 하는 것은 종교적인 신념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원하지 않을 경우 가벼운 목례를 하셔도 됩니다.)
④ 간단한 인삿말을 나눌 수 있지만, 빈소에서는 상주에게 말을 거는 것이 기본 예의가 아니므로 되도록 삼가야 합니다.
⑤ 빈소를 나올 때는 몸을 휙 돌려 나오지 않고, 두세 걸음 정도 뒷걸음으로 나온 후 몸을 돌려 나옵니다.
조문 예절을 마친 후에는 부의금을 내고 장례식장을 나오거나 시장하신 분들은 식사를 하시면 됩니다.
장례식장/상가집 절하는 법
조문시 특별히 다른 절하는 법이 있는 것은 아니고 남자는 큰절, 여자는 평절 또는 큰절을 하되 바른 자세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례식에서 절할 때 바른 자세는 손의 위치가 관건입니다.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합니다.)
조문시 삼가해야 하는 일
① 당연한 얘기지만, 웃는 것은 금물이며 정숙해야 합니다. 무표정을 유지하고 말을 아끼십시오.
②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 말을 시키는 것은 큰 실례입니다. 꼭 해야 할 이야기가 있다면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이야기 하거나 조문 후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고인이 사망한 경위나 원인 등을 유족에게 묻는 것 또한 큰 실례이니 삼가해야 합니다.
④ 너무 튀는 복장을 착용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⑤ 식사시 술잔을 부딫히며 술을 먹는 것은 삼가해주십시오.
가장 중요한 것은 지인과 슬픔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 결례를 범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정보, 일상, 생각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밥 메뉴 추천, 칼로리 알아보기 (0) | 2023.05.11 |
---|---|
한솥도시락 메뉴 추천|칼로리 알아보기 (2) | 2023.05.10 |
부동산등기부등본 무인민원발급기로 발급받기 (0) | 2023.04.23 |
출입국사실증명서 온라인 발급 방법 (0) | 2023.04.23 |
네이버 양력음력변환을 이용한 양력음력변환 방법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