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다음 숫자 단위는? 구글 이름의 유래부터 그레이엄 수까지
“조 다음은 해인가요?”
일상 속에서 “억”, “조” 같은 큰 숫자 단위는 뉴스나 기사에서 종종 접하실 겁니다.
하지만 그 다음 단위는 무엇일까요?
‘경? 해? 그 다음은요?’
사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조 다음에도 수많은 단위들이 존재합니다.
또한,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구글(Google)’이라는
이름도 사실은 어마어마하게 큰 숫자 단위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조 다음 숫자 단위 정리
● 불교 철학에서 유래한 초거대 수
● 구골, 구골플렉스 같은 현대 수학 개념
● 상상을 초월하는 수, 그레이엄 수
전통 숫자 단위: 조 다음은 경, 해, 자, 양…
한자 문화권에서는 **만(10,000)**을 기준으로 숫자 단위가 바뀝니다.
그래서 만(10⁴), 억(10⁸), 조(10¹²) 순서로 이어지고,
그다음 단위들도 체계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조 다음의 숫자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10¹⁶) → 해(10²⁰) → 자(10²⁴) → 양(10²⁸) → 구(10³²) → 간(10³⁶) → 정(10⁴⁰) → 재(10⁴⁴) → 극(10⁴⁸)
각 단위는 앞 단위의 1만 배씩 커지며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1경은 1만 조, 1해는 1만 경입니다.
불교 철학에서 유래한 초거대 수
숫자 단위를 무한히 키울 수는 없던 고대 사람들은
철학과 종교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차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불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이용해
“셀 수 없을 만큼 큰 수”를 설명하였습니다.
단위 | 10의 거듭제곱 | 의미 |
항하사 | 10⁵² | 갠지스 강의 모래알 수 |
아승기 | 10⁵⁶ | 셀 수 없는 수 |
나유타 | 10⁶⁰ | 셀 수 없이 많은 수 |
불가사의 | 10⁶⁴ | 생각조차 불가능한 수 |
무량대수 | 10⁶⁸ | 헤아릴 수 없는 가장 큰 수 |
이 단위들은 실제로 불교 경전과 수학서에서 등장하며,
무량대수는 전통적으로 가장 큰 명명된 숫자 단위로 여겨집니다.
구골(Googol): 구글 이름의 유래
20세기 초,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케스너(Edward Kasner)**는
1 뒤에 0이 100개 붙은 숫자에 이름을 붙이고 싶었습니다.
그는 조카에게 이름을 지어보라고 했고,
그 조카는 장난스럽게 “구골(Googol)”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10¹⁰⁰, 구골입니다.
이 숫자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입자의 수(약 10⁸⁰)**보다도 훨씬 큽니다.
그리고 이 이름에서 세계적인 검색 기업 **구글(Google)**의 이름이 유래되었죠.
구골플렉스(Googolplex): 인간이 쓸 수 없는 수
구골플렉스는 **10의 구골 제곱(10^(10¹⁰⁰))**을 의미합니다.
즉, 1 뒤에 0이 구골(10¹⁰⁰)개나 붙은 숫자입니다.
이 숫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종이에 쓸 수 없음
● 컴퓨터로도 저장할 수 없음
● 우주 전체를 종이로 만들어도 부족함
그래서 수학에서는 이 수를 단지 **“존재하는 개념”**으로만 다루고,
실제로 표현하거나 계산하지는 않습니다.
그레이엄 수(Graham’s Number): 현실에서 가장 큰 수?
그레이엄 수는 단순한 상상이 아닌,
실제 수학 문제에서 등장한 가장 큰 수 중 하나입니다.
수학자 **로널드 그레이엄(Ronald Graham)**이
조합론 문제를 풀기 위해 만든 이 수는 너무 커서 일반적인 숫자 표기로는 표현조차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이 수를 표현하기 위해
**Knuth의 화살표 표기법(↑)**이라는 특별한 기호를 사용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이 수는 3을 거듭제곱에 거듭제곱에 거듭제곱에...
수천만 번 이상 반복해서 만든 수라고 보면 됩니다.
그레이엄 수는 구골플렉스보다도 훨씬 더 큽니다.
이 숫자의 자릿수를 세는 데에도 우주 전체를 동원해도 부족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숫자에는 끝이 없습니다
우리가 아는 숫자 단위는 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조 → 경 → 해 → 자 → 양 → 구 → 간 → 정 → 재 → 극
그리고
항하사 → 아승기 → 나유타 → 불가사의 → 무량대수
현대 수학에서는
구골 → 구골플렉스 → 그레이엄 수까지 이어집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하나입니다
숫자에는 끝이 없습니다.
인간이 이름 붙이지 않은 수가, 셀 수 없이 존재합니다.
마치며
“조 다음 숫자는 무엇인가요?”라는 단순한 궁금증에서 출발했지만,
이 질문은 우리를 철학과 수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세계로 데려다줍니다.
그리고 그 끝엔,
“상상할 수는 없어도 존재는 하는 수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혹시 다음에 누군가 “세상에서 제일 큰 숫자는 뭘까?”라고 묻는다면,
이제는 단순히 “무한대”라고 답하기보다
구골, 구골플렉스, 그레이엄 수를 이야기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 더 깊이 알고 싶으신 분은

'정보, 일상, 생각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름떼에 찌든 가스렌지 후드망, 결국 교체했습니다 (후기 + 실사진 첨부) (15) | 2025.06.13 |
---|---|
[화장실 날벌레 박멸법] 한 번 보면 절대 잊지 않는 나방파리 완전 제거 루틴 (1) | 2025.06.10 |
조 다음 숫자 단위는 무엇일까? 상상이 안 되는 숫자의 세계 (0) | 2025.05.06 |
바이럴 마케팅의 의미와 사례 (0) | 2024.03.07 |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기념과 활용사례 |일상을 넘어 비즈니스 혁신으로 (0) | 2024.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