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일상, 생각/기타

중고차 수출, 부품 수출 추천 및 방법

by [편하게살자] 2023. 10. 6.

노후 중고차 수출

 

저는 10년 전에 산 르노 SM3를 타고 있습니다. 차량은 연식이 오래되고 주행거리도 20만 킬로미터가 넘어서 외관도 많이 훼손되었습니다.

 

사고도 한 번 당했고, 부식도 심해서 국내에서 팔기 힘든 상태입니다. 폐차를 고려하고 있었는데, 폐차보조금도 별로 받을 수 없고, 폐차 처리비용도 들어서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중고차, 부품 해외수출 추천 및 방법
중고차, 부품 해외수출 추천 및 방법

 

그러던 중, 인터넷에서 중고차 수출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중고차 수출이란 국내에서 사용하던 중고차를 해외로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해외에서는 국내와는 달리 중고차의 주행거리, 연식, 사고이력에 민감하지 않다고 하더군요. 또한 국산 차량의 신뢰도가 높아서 인기가 많다고 하더군요.

 

저는 인터넷에서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중고차 수출 업체를 찾아서 연락을 해보았습니다.

 

업체에서는 저의 차량 정보를 확인하고, 수출 가능 여부와 견적을 알려주었습니다. 업체에서는 저의 차량이 운행만 잘 된다면 수출이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견적은 폐차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중고차 수출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출 차량 매입 : 업체에서 차량을 매입합니다.

 

2. 차량 대금 지급 및 말소등록: 업체에서 중고차 판매자에게 차량 대금을 지급하고, 해당 구청에서 말소 처리 중에서도 ‘수출 말소’로 진행합니다. 이때 자동차 말소등록 사실 증명서를 발급받습니다.

 

3. 컨테이너 적입 작업: 선편 스케줄에 맞춰 전용 보관소에 보내져 쇼링 작업을 거칩니다.

 

쇼링 작업은 컨테이너 내의 차량이 외부의 충격이나 차량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와이어나 로프로 고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때 컨테이너 적입 전후의 차량 사진, 차대번호 사진, 컨테이너 번호 사진, 컨테이너 봉인 번호 사진을 촬영합니다.

 

4. 최종 적재지 보세구역 반입 후 수출 신고: 쇼링 작업이 완료된 컨테이너를 보세구역에 반입하고, 관세사를 통해 수출 신고를 합니다.

 

이때 필요한 서류는 인보이스, 패킹 리스트, 자동차 말소등록 사실 증명서, 컨테이너 적입 사진, 보세구역 반입 증빙서류 등입니다. 수출 신고가 수리되면 수출신고수리필증을 교부받습니다.

 

5. 선적 완료 후 수출이행 신고: 수출 신고가 수리된 차량을 선적지로 이송해 수출신고 수리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외국무역선에 선적을 합니다. 선적이 완료되면 수출이행 신고를 합니다.

 

저는 폐차보다 좋은 견적에 중고차를 수출로 처분할 수 있었고, 저와 같이 폐차를 고민중이신 분들은 중고차 수출을 한 번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노후 중고차 부품 수출

 

만약 수출이 되지 않을 경우 부품 수출도 할 수 있습니다.

 

부품 수출은 중고차를 분해하여 부품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부품 수출은 중고차 수출과 달리 자동차 관리법 제13조(말소등록) 규정에 따라 등록을 말소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부품으로 분해된 차량은 폐차로 처리되어야 하며, 폐차인수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부품 수출은 중고차 수출이 안 되는 차량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행이 불가능하거나, 엔진이나 변속기 등 주요 부품이 고장 난 차량은 중고차로서의 가치가 없지만, 부품으로써는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부품으로 분해하면 운송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