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일상, 생각/정책정보

청년 PT 지원제도, 청년 PT 지원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편하게살자] 2023. 11. 17.

정부에서 월 24만 원 중 10%만 본인이 부담하고 나머지를 지원해 주는 청년 PT지원제도!

 

청년 PT 지원제도는 비만이나 허약한 청년들의 신체 건강을 증진시켜 주는 서비스로, 맞춤형 운동 처방과 식단 관리를 저렴하게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 PT 지원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소개

 

2. 신청 자격

 

3. 진행 과정

 

4. 신청 방법

 

5. 참고사항

 

청년PT지원금
청년PT지원금

 

청년 PT 지원제도(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소개

 

3개월 비용 월 24만 원 중 10%(2만 4천 원)만 본인 부담하면, 나머지는 모두 정부에서 지원해 줍니다.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는 비만이나 허약한 청년들의 신체 건강을 향상해 주는 서비스로, 다이어트, 근력향상, 체력증진 등을 위한 맞춤형 운동 처방과 식단 관리를 제공합니다.

 

 

청년 PT 지원제도 신청 자격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일부 지역에서는 만 39세까지 신청이 가능하니 해당 지역의 신청 자격을 확인해야 합니다.

 

BMI(체질량) 지수가 23 이상인 과체중 청년이나 18.5 미만인 저체중 청년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학력, 취업 상태, 소득, 재산 등의 제한은 없으며,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PT 지원제도 진행 과정

 

개인 지도부터, 1:4 집단으로 진행됩니다. 신청한 청년들은 등록 전에 어떤 방향으로 지도할지 상담을 받게 됩니다.

 

이후에는 기초의학검사와 체력 측정/평가가 진행되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처방 프로그램이 실시됩니다.

 

프로그램 이용 후에도 사후 관리가 이루어지며, 시작 시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가 의무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신청 방법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거주 지역에서 안내받은 신청 시기에 맞춰 신분증, 인바디 검사지를 들고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세요.

 

※ 주변에 인바디 측정 기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없다면 지역 보건소에서 무료로 측정 가능합니다.

신청 전 주민등록상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해당 지원 정책을 운영 중인지 문의하세요.

 

 

주의사항

 

운영 지역마다 선정 기준, 모집 인원, 신청 시기 전부 다르니 사전에 꼭 문의해야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 이용 후 만족스러웠다면 1회에 한해 다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 기관은 지역마다 다르며, 보통은 지역 대학교 또는 사회복지관에서 진행합니다.

 

참고로, 청년정책 통합정보 사이트 [온통청년]에서도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지금 바로 '온통청년' 카카오톡 상담 해보세요!

 

이상으로 청년 PT 지원제도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