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생존기/읽을거리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차이와 건보료 절약 전략

by [편하게살자] 2024. 12. 13.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차이와 건보료 절약 전략

 

건강보험료의 기본 개념

 

건강보험료는 크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뉩니다.

 

직장가입자는 '사업장의 근로자와 사용자, 공무원 및 교직원, 그리고 그들의 피부양자'까지 포함됩니다.

 

피부양자는 직장가입자에게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으로,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배우자, 직계 존비속, 형제자매 등'을 의미합니다.

 

  지역가입자는 위에 언급된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국민을 포함합니다.

 

즉, 회사에 소속되어 4대 보험을 납부하는 근로자가 아니면, 모두 지역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사업자, 무직자 및 무소득자도 포함됩니다.

 

 

건보료 가입자별 산정 방식 비교

 

건강보험료 산정 방식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다릅니다.

직장가입자

◎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 × 건강보험료율(7.09%)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율 0.9182% ÷ 건강보험료율 7.09%)

 

직장가입자가 추가 보험료를 내는 경우는 보수 외 소득이 연간 2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입니다.

이때,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를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지역가입자

◎ 건강보험료 = (소득월액* × 건강보험료율) + {재산보험료** 부과점수 × 부과점수 당 금액(208.4원)}

 

*소득월액 : 보험료가 부과되는 소득은 이자·배당·근로·사업·연금·기타 소득이 있습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본인이 받는 보수에 요율이 곱해져서 보험료가 계산됩니다.

 

반면, 지역가입자는 소득뿐만 아니라 본인 명의로 되어 있는 재산 전체에 대해 점수 단위로 금액이 부과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지역가입자의 보험료가 더 비쌉니다.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더 비싼 이유

 

직장가입자는 보험료의 50%만 부담하고 나머지는 사업주가 부담합니다.

 

하지만 지역가입자는 10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또한, 직장가입자는 현재 받고 있는 급여만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산정되지만, 지역가입자는 소득, 재산, 자동차까지 모두 포함하여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이로 인해 같은 요율이 적용되더라도 지역가입자의 보험료가 더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

 

 

건보료 절약하는 방법

 

가족 중 직장가입자에게 피부양자로 등록하기

피부양자 자격이 인정되면 별도의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피부양자는 보수 또는 소득이 없어야 하고 재산 요건도 충족해야 합니다.

 

소득이 없지만 재산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피부양자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단독 지역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현 건강보험료 체계에서 지역가입자의 부담이 더 큰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청소 아르바이트와 같은 단시간 근로를 하는 어르신들 중 일부는 보험료 때문에 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금융자산이 많은 은퇴자의 경우

이자와 배당소득 관리 현금과 주식은 건보료 산정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자와 배당소득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자와 배당소득이 연간 1천만 원을 넘지 않으면 건보료를 부과하지 않지만, 1천만 원을 초과하면 이자와 배당소득 전체에 건보료를 부과합니다.

 

절세계좌 활용

금융자산을 운용할 때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와 연금계좌(IRP)를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ISA에서 발생한 운용수익에는 건보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연금계좌에서 적립금을 운용해 얻은 수익을 연금으로 받을 때도 건보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퇴직급여도 연금계좌로 이체한 다음 연금으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소득에는 건보료를 부과하지만,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같은 사적연금소득은 건보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차이와 건보료 절약 전략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차이와 건보료 절약 전략

 

마치며

 

본인의 상황을 위 내용을 참고하여 보험료를 대략적으로 예측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금액은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