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운동, 멘탈

운동을 해야 하는 진짜 이유!|움직임과 뇌

by [편하게살자] 2023. 4. 10.

운동을 해야 하는 진짜 이유!|움직임과 뇌

 

운동을 해야 하는 진짜 이유

 

많은 사람들은 살을 빼기 위해 운동을 하지만, 사실 운동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만큼 다이어트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식단의 변화 없이 운동만 한 사람들은 변하지 않는 몸에 자주 실망했을 것입니다.

 

또, 운동을 하면 인슐린에 대한 민감도가 개선되고 대사를 촉진해서 심혈관계 질환이 예방된다고 하지만 아직 어리고 젊은 사람들에게는 크게 와닿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운동을 해야하는 것일까요? 

 

 

바로 운동이 우리의 뇌에 미치는 영향 때문입니다.

 

최근 많은 신경학자들은 운동에 대해 말할 때 현존하는 어떤 약으로도 흉내낼 수 없는 마법의 약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운동과 뇌의 관계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뇌가 존재하는 이유 : 움직이기 위해서

 

뇌는 인간의 가장 복잡하고 중요한 기관입니다. 뇌는 우리가 생각하고, 기억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신적인 활동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신경과학자 다니엘 울퍼트 (Daniel Wolpert)는 뇌가 존재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단 하나, 움직이기 위해서라고 말합니다.

 

“뇌가 존재하는 유일한 이유는 움직임을 생성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다."

 

 

"만약 주위 사물을 인지하는 것, 생각하는 것, 기억하는 것 등 두뇌의 활동이 미래의 움직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퇴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순 동물인 멍게는 처음 유생 때 바닷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특정 시기에 이르면 바위에 달라붙습니다.

 

이렇게 멍게가 바위에 달라붙고 더 이상 움직일 필요가 없어지면, 멍게는 기이한 짓을 합니다.

 

영양 보충을 위해 자신의 뇌와 신경계를 먹어버리는 것입니다.

 

움직임이 필요 없어진 순간, 멍게에게 뇌는 사치품으로 전락해 버리는 것입니다.

 

포유류 동물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코알라의 뇌는 40%가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있는데, 이 빈 공간은 예전 코알라의 조상들이 지금보다 더 큰 뇌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점점 몸을 움직이지 않고 느릿느릿 유칼립투스나뭇잎이나 뜯어먹는 방식으로 적응해 버린 코알라에게, 에너지만 잡아먹는 큰 두뇌가 필요 없어진 것입니다.

 

인간이 이토록 커다란 뇌를 갖게 된 이유는,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복잡하고 다양한 움직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현대사회와는 상황이 많이 다르지만, 수렵채집시절 움직인다는 것은 생존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음식을 먹기 위해 여기저기 휘젓고 다니고, 딸기가 나오는 곳을 기억해 뒀다가 다시 찾아오기도 하고, 사자가 자주 출몰하는 지역은 우회하여 이동해야 했으며,

사냥할 땐 사냥감의 이동 속도와 방향을 예상하며 움직이고, 도구를 집기 위해선 손가락 끝의 신경까지 활용해 움직여야 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복잡하고 큰 뇌가 필요했으며, 기억력과 인지력은 우리의 움직임을 도왔습니다.

 

즉, 뇌는 움직임을 위해 발달하고 최적화된 기관이며, 움직임은 인지와 기억의 기반이 되는 것입니다.

 

마치며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은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 운동을 잘하는 학생일 수록 대학입시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연구결과,

  운동으로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킨 학생들의 IQ가 올라갔다는 연구,

  고강도 운동을 한 사람의 암기속도가 하지 않은 사람들의 암기 속도보다 더 빨랐다는 사실,

  운동을 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집중력가 인지 능력이 뛰어나다는 연구,

  규칙적인 운동이 치매를 예방한다는 연구,

 

그리고 운동을 할 때 분비되는 도파민, 세로노틴, 엔도르핀, 노르에피네프린, BDNF 등 뇌의 기능에 관려하는 화학물질등은 운동이 뇌와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움직이는 수고를 덜어주는 기술문명의 발전으로 인해, 오랫동안 컴퓨터 앞에 앉아 움직이지 않고 많은 시간을 보낸다면 우리 후손들의 뇌는 어떻게 될까요?

 

사실 이미 우리의 뇌 상태는 좋지 않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치매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현대인의 뇌 크기는 2만년 전보다 테니스 공정도 작아졌다고 합니다.

 

우리에게 운동은 너무 과소평가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운동하는 목적이 이제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운동합시다!

 

 

운동화 신은 뇌(젊은 뇌를 유지하자) - 존 레이티, 에릭 헤이거먼

뇌를 위해 운동하라 이 책은 우리에게 뇌를 위해 운동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유익한지 알려줍니다. 우리의 뇌는 과거의 환경에 적응한 것이기 때문에 현대의 생활 방식에 맞지 않습니다. 우

livecomfort.tistory.com

 

호모 사피엔스가 달리기를 해야 하는 이유

호모 사피엔스가 달리기를 해야 하는 이유  사피엔스의 생존비결 다른 동물들에 비해 신체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사피엔스는 어떻게 먹이사슬의 최정상에 오를 수 있었을까요?  물론,

livecomfort.tistory.com

 

뇌과학이 말하는 근력운동의 중요성

뇌과학이 말하는 근력운동의 중요성    1.콜롬비아 출신의 저명한 신경과학자 로돌포 이나스(Rodolfo Linas)는 뇌가 진화한 이유가 생각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움직이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습니다.

livecomfort.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