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일상, 생각/인사말

절기 동지(冬至)의 의미, 인사말, 음식과 풍속

by [편하게살자] 2023. 6. 22.

동지(冬至)의 의미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입니다.

 

이 날은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르러 극에 도달하고,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동지
동지

 

동지(冬至)의 음식과 풍속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끓입니다.

 

단자는 새알만 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릅니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祀堂)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습니다.

 

 

 

동지(冬至)와 어울리는 인사말

 

● 일년 중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입니다. 추위가 기승을 부리며 좀처럼 누그러들 생각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날은 날이 날이니만큼 붉은팥을 이용하여 팥죽을 끓여 먹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은 설이라 불리는 동짓날입니다. 달력을 주고받는 날이라고도 하는데 얼마 남지 않은 올해 달력이 아쉬움을 말해주네요.

 

1년 중 낮의 길이가 제일 짧은 날 동지(冬至). 희망찬 새 봄을 기다리며 행복하고 기쁜 일 가득한 연말연시 되세요. 늘 건강 하시고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예로부터 동짓날이 되면 백성들은 모든 빚을 청산하고 일가친척이나 이웃 간에는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을 마음을 열고 풀어 해결했다고 합니다.

 

동짓날을 맞아 근처에 불우한 이웃들을 돕는 모금함에 기부를 하고 나니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은 단지 팥죽을 먹었기 때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마치며

 

동짓날은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르러 극에 도달하고,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이 날은 팥죽을 끓여 먹는 관습이 있는데, 이는 팥의 붉은 색깔이 악귀를 쫓아낸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번 동짓날에도 따뜻한 마음으로 서로를 대하며,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것이 어떨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