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일상, 생각/인사말

절기 소한(小寒)의 의미, 인사말, 음식과 풍속

by [편하게살자] 2023. 6. 22.

소한(小寒)의 의미

 

소한은 24절기 중에서 23번째 절기로, 양력으로는 1월 5일 무렵,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됩니다.

 

절기 소한의 이름은 '작을 소 (小)'와 '찰 한 (寒)'의 합성어로, '작은 추위’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한(大寒)보다 더 추운 날이 많다고 합니다.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지은 절기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와는 다른 기후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소한에 눈이 오면 풍년이 든다고도 하며, 대한이가 소한이네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소한
소한

 

소한(小寒)의 음식과 풍속

 

소한은 한파가 몰아치는 시기이므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영양을 보충해주는 음식이 잘 어울립니다.

 

예를 들어, 쌀밥과 김치찌개, 돼지고기와 콩나물을 넣은 국밥, 닭고기와 약초를 넣은 삼계탕 등이 있습니다. 또한,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감귤과 유자차 등의 과일과 차를 즐겨 마시기도 합니다.

 

소한에는 특별한 풍속이나 행사가 없지만, 새해를 맞이하고 다가오는 설날을 준비하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가족과 친지들과의 연락을 자주 하고, 집안 정리와 장보기 등을 하며 새해를 준비합니다.

 

 

 

소한(小寒)에 어울리는 인사말

 

소한에는 추운 날씨를 견디며 새해를 준비하는 마음을 담아 인사말을 전합니다.

 

● 소한인 오늘은 본격적으로 추워진다고 합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따뜻하게 입으세요.

 

작은 추위라는 소한입니다. 면역력에 좋은 음식과 따뜻한 차 드시면서 소한 추위 잘 이겨내시기 바랍니다.

 

정초한파라 불릴 정도로 추운 소한입니다. 두투한 외투 잘 챙겨입으시고, 행복 가득한 연초 보내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소한의 의미와 음식과 풍속, 인사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