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일상, 생각/인사말

절기 우수(雨水)의 의미, 인사말, 음식과 풍속

by [편하게살자] 2023. 6. 26.

절기 우수(雨水)의 의미

 

우수는 태양의 황경이 330도에 위치해 있을 때를 말합니다.

 

우수(雨水)의 한자어를 풀이하면 ‘빗물’이라는 단어로 해석되는데요.

 

겨울철 추위가 풀리고 기온이 오르면서 눈이나 얼음이 녹아 물이 되어 흐르는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날입니다.

 

 이 같은 자연의 변화를 두고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속담이 생겨났습니다.

 

우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길목에서 만날 수 있는 절기입니다.

 

우수
우수

 

 

 

울의 기운이 강하게 남아 있는 입춘과 달리 우수가 지나면 매서운 영하의 한파가 찾아오지 않게 되고 얼었던 땅이 녹으며,

나무에 겨울눈이 생기면서 계절이 본격적으로 서서히 봄을 향해 달려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시기입니다.

 

 

우수(雨水)에 하는 일과 풍습

 

우수에는 새해 농사 계획을 세우고 씨앗을 고르기, 밭두렁 태우기, 장 담그기, 봄나물과 오신채 먹기, 입춘첩 떼어내기 등의 일과 풍습이 있습니다.

 

● 씨앗 고르기

우수는 새해 농사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옛 농민들은 우수가 되면 전해에 수확한 씨앗을 모두 꺼내 미리 확인하며 한 해 농사에 쓸 좋은 씨앗을 골랐습니다. 씨앗 고르기는 새해의 소망과 바람을 담은 의미 있는 일입니다.

 

밭두렁 태우기

우수에는 농사를 앞두고 논밭에 있는 벌레들과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밭두렁을 태우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겨우내 볏짚으로 감싼 나무의 볏짚단을 태우기도 했습니다. 이는 농사에 해로운 벌레와 씨앗을 살균하고, 땅의 영양분을 보충하고, 봄비가 내리면 새싹이 잘 돋아나게 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밭두렁 태우기로 인한 화재가 매년 발생하고, 방제효과가 없다고 알려져 있어서 이러한 풍습은 지양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산불의 주범 '야외소각'…논밭두렁 태우다 실화죄 처벌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소방청은 농업 부산물, 쓰레기 소각, 논·밭두렁 태우기 등 야외 소각행위가 산림이나 주택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

www.yna.co.kr

 

장 담그기

우수에는 한 해 동안 먹을 장을 담그는 일도 잊지 않았습니다. 아직 추위가 덜 풀린 이른 봄에 담가야 소금이 덜 들어 삼삼한 장맛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우수에 장을 담그면 약 40일이 지난 청명과 곡우쯤 된장을 분류하는데 이때 만들어진 된장이 발효가 가장 잘 되어 좋은 맛을 낼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선조들은 정월 마지막 날인 오일, 그믐 손 없는 날, 병인일, 우수, 입동일, 춘분, 추분, 삼복일에 장을 담그면 장에 벌레가 생기지 않아 장을 담그기 좋은 날이라고 여겼습니다.

 

봄나물과 오신채 먹기

우수에는 산과 들에서 막 돋아나기 시작한 봄나물을 채취해 먹고 오신채를 즐겨 먹었습니다. 냉이, 두릅, 봄동 등의 봄나물은 겨우내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을 보충하고 봄철 활력을 되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 향이 강하고 매운맛이 나는 다섯 가지 채소를 의미하는 ‘오신채’를 즐겨 먹곤 했는데요. 오신채는 지역마다 종류가 조금씩 다른데 달래, 파, 마늘, 부추, 흥거, 무릇 등이 포함됩니다. 오신채는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입춘첩 떼어내기

입춘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등의 문구가 적힌 입춘첩을 대분이나 문설주에 붙여 봄이 옴을 기뻐하고 그해의 행운과 건강을 기원하곤 합니다.

 

본래 입춘에 붙인 입춘첩은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이듬해 입춘이 되면 전에 붙인 입춘첩 위에 덧붙이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그러나 요즘에는 입춘첩을 놔두었다가 덧붙이기보단 입춘의 다음 절기인 우수 전날에 떼어내곤 합니다.

 

우수(雨水)에 어울리는 인사말

 

우수는 봄의 기운이 돌기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이때는 봄을 맞이하며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격려와 응원의 인사말을 건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인사말이 있습니다.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우수입니다. 매서웠던 추위는 가고 제법 따듯한 봄기운이 느껴집니다.

 

아직 봄의 꽃샘추위가 남았으니 늘 감기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눈이 녹아서 비가 되는 절기 우수입니다.

 

창 밖을 보니 약속이나 한 듯 봄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내리는 빗소리를 들으며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초목이 싹튼다는 절기 우수이지만 여전이 날이 쌀쌀합니다. 봄이 오길 기다리며 건강 유의하세요/

 

우수를 맞아 일가친지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우수입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모두가 행복한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농부들이 모내기를 시작하는 절기 우수입니다.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며 모든 분들이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마치며

 

우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길목에서 만날 수 있는 절기인 우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